학교에서 보물찾기/나는 사회 교사다.

[사회문제탐구] 소논문 작성1 - 논문이란?

지지파 2023. 7. 14. 11:22
반응형
  • 논문(論文)이란 기본적으로 논증(論症)하는 글입니다. 논증한다는 것은 논리(論理)적으로 증명한다는 뜻입니다. 논리적이라는 뜻은 논(論)이 이치에 맞다는 뜻입니다. 논은 말하는 것이긴 한데, 무엇에 대해 의견을 말하는 것입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무엇에 대해 의견을 말하는데 그것이 이치에 맞다고 증거를 들어 증명하는 글이 논문입니다.

 

  • 그런데 ‘무엇’에 대해 말할까요? 그 무엇은 ‘새로운 사실’, 거창하게 말하면 진리입니다. 진리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보편타당한 지식, 원리, 법칙 등을 말합니다. ‘**는 @@가 진리다’라는 식으로 쓰이기도 하죠. 플라톤처럼 이데아라는 절대적인 진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고 진리는 상대적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으며(상대주의적 진리관) 진리를 알 수 없다는 사람(회의주의자)도 있죠.

 

  • 진리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지만, 중요한 건 우리는 ‘참’을 추구하기 마련입니다. 거짓인 세상에서 살고 싶지는 않잖아요. 상대방의 말이 참인지, 거짓인지 따지기 마련이고, 사랑도 우정도 참되길 바랍니다. 우리는 누구나 ‘진리’까지는 모르겠지만 ‘참’을 추구하는 건 분명한 거 같습니다. 조금 더 나가면 ‘참된 지식’을 추구하는 것이겠죠.
  • 그러면 참된 지식은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누군가는 과학적 관찰과 실험을 통해 진리를 알 수 있다고 하고, 누군가는 ‘신’ 또는 종교의 경전을 통해 진리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어떤 사람은 깊은 명상 또는 삶 속에서 얻은 ‘깨달음’이 진리이요, 어떤 사람은 고전이나 성현의 말씀을 연구하여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 진리를 집중적으로 찾으려는 노력을 ‘학문(學問)’(discipline)이라고 합니다. 학자들이 연구활동을 한 결과를 축적해 놓은 지식체계인 것이죠.1) 학문은 지식체계로서의 학문과 활동으로서의 학문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규정될 수 있습니다.2) 여러분이 초중고등학교에서 학문을 할 기초를 다졌다면 대학은 스스로 학문을 하는 교육기관입니다.

 

  • 학문(學問)의 한자를 풀이하면 ‘배우고 묻는다’는 뜻인데 ‘묻고 배운다’가 더 좋은 거 같습니다. 궁금하기 때문에 묻고 대답을 찾아가는 과정인 것이지요. 상자가 3개 있습니다. 우리는 상자를 열기 마련이죠. 이유는 그 안에 무엇이 있을지 궁금하기 때문입니다. 물음, 궁금함, 호기심은 사람을 움직이게 하죠. 이를 ‘학문적 호기심’이라고 합니다. 내가 무엇을 궁금해하는가는 곧 연구 주제가 됩니다

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사전 검색

2) 위의 책

이처럼 다른 사람이 작성한 글을 인용할 때 그 출처를 밝혀주거나, 자세하게 설명할 때 본문 아래에 쓰는 것을 각주(脚注)(foot note)라고 합니다.

저자, 출판년도, 책(논문)제목, 페이지의 순서로 씁니다.

언론기사 경우 전자신문, 2020.04.21., 기사제목, 기사링크식으로

인터넷 자료의 경우 사이트명. ’검색명‘, 사이트 주소, (참고 날짜) 으로 씁니다.

한컴오피스에서는 ctrl+n+n 이고 Ms-Word에서는 참조탭-각주 삽입을 하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