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문화 8

[사회문제탐구] 소논문 작성 10 - 강의 자료(합본)

우리 학교에서 실시하는 '나도 글로벌 전문가' 대회 참가 학생 사전 교육 자료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고등학교에서 각종 대회가 사라지고, 탐구하는 분위기가 사라지는 것은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혹시라도 필요한 선생님, 학생은 다운받아 사용하시고, 혹시 질문을 남겨주시면 성심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사회문제탐구] 소논문 작성 9 - 연구 윤리

연구자에게 연구는 일입니다. 학위를 따고 싶은 연구자는 논문 심사를 정말 통과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가장 잘 쓴 논문은 통과한 논문이다’라고 말들을 합니다. 또 교수가 되어도 일정한 양의 논문을 매년 써야 합니다. 그런데 연구 주제를 잡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나오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쉽게 악마와 손을 잡게 됩니다. 표절과 조작의 유혹에 넘어가는 것이죠. 표절은 남의 연구 결과를 훔치는 것입니다. 지금도 선거철이 되면, 청문회 때가 되면 가장 많이 나오는 것이 논문 표절 문제입니다. 조작은 자료와 분석 결과를 위조하는 것입니다. 세상에 거짓을 참이라고 거짓말을 하는 것이죠. 만약 다른 사람이 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한다면 그 주장의 위해함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 대회와..

[사회문제탐구] 소논문 작성 7 - 자료수집(실험법, 면접법, 참여관찰법)

실험법은 통제된 조건에서 정밀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합니다. 실험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앞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에 대해서는 설명을 했지요? 실험은 주로 독립변인에 따라 종속변인이 어떻게 변화가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약이 혈압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갑군에는 A약을 투약하고 을군에는 A약을 투약하지 않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비교할 것입니다. 이때 A약 투약 여부는 독립변인이 되고, 변화는 종속변인이 됩니다. 그리고 갑군은 A약을 먹었기 때문에 실험집단이, 을군은 A약에 접촉되지 않도록 제한되었기 때문에 통제집단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실험이 의미가 있기 위해서는 갑군과..

[사회문제탐구] 소논문 작성 6 - 자료수집(질문지법)

학생들이 흔히 설문조사를 실시한다고 하는 것이 질문지법입니다. 대표적인 양적 연구 방법이지요. 수십명, 수백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어려울 거 같지만, 최근에는 각종 온라인 설문조사가 가능해졌고, 상대적으로 분석이 쉬워 ‘게으른 자들의 연구방법’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질문지법을 실시할 때 몇 명이나 해야 하냐고 질문을 많이 합니다. 정답은 ‘최대한’입니다. 가장 좋은 것은 ‘전수 조사’입니다. 연구 대상 전체를 조사하면 가장 정확합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것이 어렵죠. 그래서 표본을 추출해서 실시하게 됩니다. 이때 전체 집단을 ‘모집단’, 표본을 ‘표본집단’이라고 합니다. 표본집단의 결과가 모집단의 결과라고 추정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표본집단의 수가 최대한 모집단에 가까워야 합니다. 또, 표본집단이..

[사회문제탐구] 소논문 작성 5 - 자료 수집 방법(문헌연구법)

연구를 위해서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데 우선 자료의 종류를 알아야 합니다. 자료에는 내가 직접 조사하여 얻은 1차 자료와 다른 사람이 조사한 것을 사용하는 2차 자료가 있습니다. 그리고 자료 수집 방법은 문헌연구법, 질문지법, 면접법, 실험법, 참여관찰법이 있습니다. 문헌연구법 - 연구 주제를 결정해서 한참 연구하고 있는데 이미 내가 하고 있는 연구주제와 같은 연구가 이미 있다면 참으로 맥빠지는 일일 것입니다. 그래서 제일 먼저 해야 하는 것은 문헌연구를 해야 합니다. 내가 생각한 주제와 관련한 연구가 무엇이 있는지, 어디까지 연구가 되었는지,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지를 알아야 의미있는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 보통 논문에는 이론적 배경, 기존 연구 동향 등이 들어가게 되는데 내 연구가 어떤 맥락에서 실..

[사회문제탐구] 소논문 작성 4 - 연구 방법(질적 연구 방법, 귀납적 연구)

- 연역법과 다르게 구체적 증거로부터 결론을 추론해 가는 방식을 귀납법이라고 합니다. 관심있는 대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한 결과를 해석하여 결론에 도출하는 방식이죠. 사회과학에서도 귀납적 탐구 방법을 사용합니다. 사회과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자연과학의 양적 연구 방법을 사회현상에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게 되죠. 왜냐하면 일정한 법칙에 따라 움직이는 자연현상과 달리 인간은 개인마다 동기가 다르고, 이해하는 방식이 다르고, 상징과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현상을 주의깊게 관찰하여 연구자의 직관적 통찰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 것(결론)이 더 사회를 과학적으로 본다는 것입니다. 이를 질적 연구라고 하지요. 그래서 가설을 세우지도 않고, 두 변인간의 관계를 밝혀 일반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

[사회문화] 실재론과 명목론(feat. 2022 카타르 월드컵)

실재론과 명목론은 사회문화에서 내용이 어렵지 않지만 시험 문제도 잘 나오고 사회 현상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생각할 거리가 많은 주제이다. 실재론과 명목론은 사회와 개인의 관계를 어떻게 보는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실재론은 사회가 실재한다고 주장한다.(그러니까 실재론이겠지). 실제로 존재하니까 개인에게 영향을 미친다. 내가 자유롭게 생각하고, 자유롭게 결정하며 내 인생을 살아가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사회 구조의 영향 아래서 있다는 것이다. 수업 시간에 이렇게 묻는다. "독도는 어느 나라 땅이지?" "우리나라 땅이요." "우리나라 땅이라는 것은 대한민국 땅이라는 것이지?" "예." "그런데 일본 사람들은 어느 나라 땅이라고 생각할까?" "한국 땅이요." 아이들이 웃는다. 사람들은 자기가 속한 사회의 생각대..

[빌리 엘리어트] 백조가 진짜 인간이 되기 위해

사실 빌리엘리어트는 예전에도 몇 번 본 거 같다. 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에도 출연했던 제이미 벨의 연기는 아역 배우의 연기로 영화 역사상 최고의 연기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훌륭했던 걸로만 기억했다. 물론, 꿈을 위한 아이의 노력, 선생님의 사랑, 아버지의 갈등 등도 잘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사회문화] 교과서에 지위와 역할, 역할갈등과 관련하여 영화가 소개되었고, 작년 3개 학급에 이어 올해도 3개 학급에서 영화를 보고 있다. 작년에는 1학기에 보았는데 한국으로 가서 입시를 치뤄야 하는 학생들이기 때문에 빌리의 오디션과 가족을 떠나는 것이 더 와닿을 거 같고, 지금은 학교에 남아 있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조금은 여유있게 보고 있다. 어느 영화는 보면 볼수록 감독이 숨겨놓은 장치들과 메시지를 볼 수..

반응형